[원효로] 용궁-감정에 호소하는 불균형

IMG_8783

글쓰기가 업이라는데, 또한 새 책을 무려 44개월 만에 냈다는데 한 달에 외고 1편도 안 쓴다는 게 실화냐? 그렇다, 실화다. 물론 나의 이야기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안 쓰는 게 아니라 못 쓰는 거다. 그런 가운데 이번 달에 무려 한 편의 외고를 썼다. ‘바자’에 ‘안티 미쉐린 투어’라는 주제로 썼는데 진짜로 반 미쉐린이라기보다(예전 참조), 되려 허술하다고 느낀 별 세계 아랫쪽을 보충(?)하는 끼니 음식점 몇 군데를 다뤘다. ‘엄청나게 맛있다기보다 평론가로서 생각하게 만드는 곳들이다’라는 단서를 달고.

그 가운데 한 군데가 원효로의 용궁이다. 예전에 한 번 쓴 적 있는데, 최근 궁금했던 볶음밥과 요리를 먹어보러 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좋았다. 볶음밥은 밥 자체가 살짝 딱딱했지만 당근을 비롯해 전반적인 재료의 볶음 상태는 좋았다. 마찬가지로 가능한 요리 세 가지 가운데 하나인 깐쇼새우(나머지 둘은 탕수육과 잡채)도 사과 등 볶은 식물성 재료가 가장 맛있었다. 튀김도 솜씨 자체로만 보면 불만족스럽다고 말할 상태는 아니었지만 볶음밥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작은 새우를 튀김옷에 뭉쳐 놓아 바삭함이 좀 빨리 가셨다.  케첩 바탕의 소스가 그다지 흥건하지 않고 볶아서 마무리했으리라 추측되는 상태로 나왔으므로 재료의 열악함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기름을 적극적으로 쓰는 음식으로서 소금간이 두드러져 훌륭했다.

IMG_8784수타면 전문을 표방하고 실제로도 좋지만 짜장이든 짬뽕이든 소스나 국물과 관계를 맺을때 완성되는 음식이다. 따라서 나머지 요소의 완성도도 중요한데 확실히 기술에 비해 재료의 균형이 떨어진다. 그래봐야 한 가지의 요리를 먹었지만 이 또한  처지가 크게 다르지는 않다. 그리하여 볶음밥이 의외이자 최후의 승자 같지만 아쉬움은 가시지 않는다. 기본 메뉴인 짜장 한 그릇에 4,500원인 여건의 한계가 생각보다 크게 발목을 잡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가격대를 비롯해 좀 더 나은 여건 위에 이 기술을 풀어 넣을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궁금해진다는 말인데, 이를 뒤집으면 이젠 정말 마음이 아파서라도 더 찾아가지 못할 것 같다는 말도 된다. 기술과 재료를 비롯한 여건의 불균형이 때로 너무 크게 감정에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