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린 기억 속의 김밥
어젠 다섯시 반 부터 혼자 술판을 벌여 아주 이른 시간에 마무리했는데, 술취해서 눈에 띄는 아무 거나 사가지고 오는 아빠의 마음으로 홍대 주차장 골목에서 눈에 띄는 김밥집에 들러 김밥 두 줄(각 2,900원)을 사서는 없는 자식 대신 내가 먹었다. 술에 취해서 사진도 흐릿하고, 기억도 흐릿하다. 하지만 맛 이야기는 할 수 있다. 요즘 이런 김밥이 유행하는지는 모르겠는데, 음식의 이름이 ‘김밥’이라는 걸 감안할때 밥의 비율이 너무 적다. 그럼 나머지 재료와 균형도 맞지 않는다. 그렇게 만들어서 다른 김밥보다 조금 가격을 높이 매기는지는 모르겠으나 별 의미가 없다. 또한 그 나머지 재료가 너무 달다. 오이 같은 재료엔 아무런 간이 되어 있지 않고 우엉을 너무 쑤셔넣어 그런듯. 뭔가 잔뜩 채워 넣었지만 의미있는 재료는 별로 없다. 싸면 싼 울타리 안에서 최선을 다하면 참 좋을텐데, 그런 걸 찾아보기가 어렵다. 차라리 괜찮은 쌀로 지은 밥 위주에 적당한 재료 한두 가지를 채워도 좋을텐데 그럼 ‘별로 먹을 게 없는 김밥’이라고 생각할지도. 맨날 ‘한식=밥 문화’라고 하는데 이렇게 밥이 기본이어야 하는 음식에서는 정작 별 의미도 없고 잘 만들지도 않는다. 또한 손이 많이 가는 대중 음식은 그 최소한의 완성을 위한 노동력을 전시하는 것 외엔 별 의미 없는 재료를 채워 의미 없게 만들어 팔고 있다. 한마디로 맛없는 김밥이었으니 자식이 없는게 다행이었다.
저는 저런 김밥류에 들어간 당근과 오이의 식감이 상당히 괜찮은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집에서 당근만 넣은 김밥도 만들어보려구요 🙂 과연 우어조림과 햄 단무지 뭐 이런게 필요할까 이런 생각도 강하게 들고 김이 눅눅해지는걸 방지하는 방법도 생각할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소비자가 김밥의 밥에 대해서는 아무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데 있죠. 단지 부속물이 뭐가 들어가냐에만 관심이 있을 뿐. 가끔 야근하면서 사다오는 김밥을 먹을 때가 있는데 종종 간조차 안 맞는 김밥 (스팸이 들어가는 게 대표적이죠…)이 오면 만든 사람에게 화를 내고 싶어질 때가 있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