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의 낮술(8b)-무쇠솥 갈비찜과 우리 음식의 사진발
사실 갈비찜에 대해서는 그다지 새롭게 할 수 있는 얘기가 없다. 여러번 해 봤으니까. 역시 가장 좋은 레시피는, 갈비를 한 번 삶아서 물을 따라 버리고 분량에 맞는 양념을 만들어 반 정도를 넣고 끓이다가 나머지 반을 넣고 마저 끓이는 것이다. 지난 번에 갈비버거를 만들기 위해 넉넉하게 사 두었던 갈비의 나머지로 찜을 했는데, 다시 확인한 결론이라면 이런 종류의 고기 요리(미국식으로 따지면 스튜)는 먹기 전날 만들어 완전히 식혔다가 다시 데워서 먹는 게 더 낫다는 것. 콜라겐과 젤라틴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뭐 이런 얘기는 별 재미가 없으니 그만 두고.
사진을 찍으려다 보니, 최근 어떤 분이랑 만나서 했던 우리나라 음식과 사진발과의 관계에 대한 얘기가 생각했다. 우리가 식당에서 먹게 되는 우리나라 음식-찌개나 탕 종류, 말하자면 일품요리류-은 대부분 사진을 잘 안 받아서, 찍어놓고 보면 별로 아름답지 않은데 왜 그럴까- 가 주된 화제였는데, 일단 생각해 보면 그런 종류의 음식들은 원색도 아닌, 비슷비슷한 무채색들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사진이 잘 안 받지 않나 생각된다.
사실 전체적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음식이 사진을 안 받는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떡 벌어지게 사진 전통 음식상을 보면 각각의 반찬들이 서로 다른 색의 구성요소가 되어 상 전체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만들기도 하니까. 그러나 문제는 음식 하나하나만을 놓고 보면 그 자체로서 완결된 피사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대부분 단색이니까. 물론 그 각각의 반찬들은 하나의 음식으로서도 완결된 존재가 될 수 없기도 하다. 끼니가 되려면 최소한 밥이 있어야지, 반찬만 먹어서 끼니를 채울 수는 없으니까.
조금 과장해서 생각해보면,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반찬과 사람은 꽤 비슷하다. 반찬도 모여야 뭐가 되고, 또 사람들도 모여야 뭐가 된다고 생각하고… 반찬은 반찬 하나로 완결된 음식이 될 수 없고, 사람은 자기 혼자 있는 것이 두려워서 자꾸 무리를 짓고… 그래서 우리나라의 음식은 따로 떨어뜨려 놓으면 음식으로는 물론 하나의 피사체로도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근본적인 약점이 있는 것일까?
뭐 그래서 시커먼 갈비찜 역시 사진을 찍어 놓으면 그렇게 맛있어 보이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깨라도 불러다가 도움을 좀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 음식이 보다 더 세계화 되려면 먹을 때 뿐만 아니라 눈으로 보는 차림새에 대한 연구도 좀 이루어져야 할 듯.
무려 두 병의 술을 더 따셔 마셨는데, 음식과의 어울림에 대한 느낌은 각각의 술에 대한 글에 언급했다.
# by bluexmas | 2009/09/04 11:09 | Taste | 트랙백 | 덧글(8)
비공개 덧글입니다.
아직 시도는 안 해봤는데, 하루 전에 삶아서 완전히 식힌 뒤 냉장고에 넣어놓았다가 기름을 걷어내면 그래도 좀 낫지 않을까 싶어요. 정말 기름이 너무 많이 나오죠. 제가 보는 어떤 레시피 책-미국 것-에서는 아예 뼈를 떼어내고 하라고 그러더라구요. 실험결과 기름이 2/3 가량 줄었는데, 맛은 별 차이가 없다구요. 그러나 또 갈비라는 게 뼈에 붙은 살 발라먹는 맛이니 그렇게 하기 좀 아쉽죠^^
그래서 고추나 계란지단 같은 꾸밈의 도움을 받아야 하기도 하고…
조금씩 담거나 아니면 생야채 잎사귀 같은 걸로 받침 접시를 하거나 해야 되는 것 같아요. 그나저나, 갈비찜 먹고 싶어지는데요? ^^
갈비찜은 다 좋은데 기름이 너무 많아서 그게 거슬려요. 자주 만들게 안 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