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 한 잔’과 민속주의 전형적인 문제점
민속주(이 명칭 자체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을까? 그냥 ‘우리술’이 더 낫지 않을까?)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가운데 롯데 본점 지하에서 발견하고는 대체 귤로 만든 술은 어떨까 싶어 사마셨지만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고 한 잔 먹고는 GG쳤다. 원인은 언제나 똑같다. 일단 너무 달다. 당도계라도 사서 비교해보고 싶은 생각마저 들었는데 도수도 그렇고 디저트 와인 수준으로 달아 딱 반 잔만 마시면 물려버린다. 그렇다고 향이 좋으냐면 또 그것도 아니다. 과일의 단맛을 꿀이나 설탕에 비해 팔 정도로, 품종 불문 단맛에만 초점을 두는 현실에서 상큼한 신맛이나 좋은 향 등등은 언제나 뒷전인데다가 원래 감귤이라는 과일의 향이 그다지 매력적인 것도 아니다. 껍질을 벗기면 시트러스 특유의 씁쓸함이 올라오는데 그게 술에도 두드러져 전체적으로 좀 시금털털 달착지근하다. 2년전 보성에서 사온 녹차술도 아직 제대로 마시지 않은채 냉장고에 모셔두고 있는데 녹차향을 걷어 내면 결국 다를 게 별로 없다. 석류로 만들어도, 사과로 만들어도 뭐로 만들어도 결과는 다 비슷할 것이다.
비단 술 뿐이 아니다. 지역 특산물로 만들었다는 먹을 거리는 정확하게 주연이 되어야 할 재료의 맛을 파악해서 만들었다는 인상을 풍기지 않는다. 대부분 ‘우리에게 이런 재료가 있으니 이걸로 뭐라도 만들어보자’ 라는 생각으로 1+1=3 등으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배합이 아닌, 1+1=2도 되기 어려운 단순 조합이다. 귤이 있으니 일단 술 만들고 초콜릿에 넣고 뭐 그런 식인 것만 같다. 지방에 내려갈때마다 휴계소에 들러 이것저것 들춰보는데 송이가 특산물이면 인공 송이향 넣고 만든 양갱이나 초콜릿을 만들거나, 언젠가 올린 충격과 경악의 단풍빵처럼 형태를 단순하게 차용하는 정도에 그친다. 전반적으로 맛보다는 이벤트나 해프닝에 초점을 맞추는 느낌이랄까.
# by bluexmas | 2012/10/19 18:26 | Taste | 트랙백 | 덧글(20)
일반 초콜릿보다 비싼데 감귤은 잘 모르겠고 초콜릿도 가짜 초콜릿을 사용했더군요.
적어도 빤해 보여서 비웃으며 먹어봤더니 화들짝 놀란다….라는 기믹은 보여줬으면 합니다 ㅎ
우리나라 관광지에서 특산품이라고 내놓은 것 보면…
아 갑자기 관광당한 기분이에요…
몰라서 호기심에 마셔보든가 원래 저걸 마시던 괴인이든가
후자가 존재한다면 부분적으로나마 오컬트 현상 신봉자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