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역]한성문고-라면 한 그릇에 지운 무거운 짐?

며칠 전 <한성문고>에서 ‘서울라면’을 먹었다. 한성에 서울이라니, 그야말로 옛 서울에 현재의 서울이다. 그만큼 나의 경험이 서울스러웠나? 글쎄, 생각을 좀 해봐야 할 것 같다.

일단 가격을 생각하지 않았을때, 이 서울라면이 잘 만든 음식이라고는 생각한다. 면의 인상은 잘 기억나지 않는데 일단 육수만 놓고 봐도 그렇다. 동물성 재료를 고아 틀(흔히 서양 음식에서 ‘body’라고 말하는)을 잡고 그 위에 가쓰오부시의 감칠맛을 올린, 그러나 무겁지 않고 깔끔한 육수에 짭짤한 양지머리 고명의 악센트는 좋았다. 만약 이 라면이 서울라면 아닌 다른 어떤 무엇이었다면 그냥 ‘잘 먹었다’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역시 그 이름 때문에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이 라면이 굳이 ‘서울라면’이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의도를 나는 두 가지로 생각했다. 첫 번째는 대표성에 관한 것이다. ‘이 라면을 서울을 대표할만큼 맛있는 라면으로 만들겠다’라는 의도다. 그건 이 라면이 가질 맛의 구성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과 상관없이 맛있는 라면으로 만들어 대표성을 불어넣겠다는 의지다. 성공적이었나?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고 생각했다. 가능성이…

두 번째는 맛 그 자체에 ‘서울스러움’을 담겠다는 의도다. 나도 그 서울스러움을 정확하게 한두 가지 요소로 인식하기는 건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어쨌든 이런 의도로 이 라면에 ‘서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면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건 ‘왜 하필 가쓰오부시인가’라는 물음으로 시작할 것이다. 가쓰오부시가 일본의 재료라서 그렇다기보다, 서울이고 아니고를 떠나 우리 음식에 잘 쓰지 않는 재료며 맛이기 때문에 그렇다. 요즘은 거의 모든 것에 ‘이게 정말 우리 고유의 재료며 맛일까’라고 생각하게 되는데, 어쨌든 멸치나 북어라면 차라리 설득력을 더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도 ‘반드시 동물성+해물의 재료 구성이 육수에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해 납득이 가는 대답을 얻은 다음에야 가능하다.

또한 그 출발점을 무엇으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할 수 밖에 없다. 일본식 ‘라멘’에서 출발해야 하는가, 아니면 칼국수나 온면 같은 우리 면 음식에서 출발해야 하는가(물론 칼국수나 온면이 서울의 음식인지에 대한 고려는 딱히 없이 제시한 것이기는 하다)? 자, 라면을 한 그릇 먹으면서 굳이 이런 생각까지 해야 할 필요는 절대 없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름이 ‘서울라면’이다 보니 이렇게까지 생각이 복잡해진다. 음식 문화에 대해서 생각하는 기회를 가진다면야 절대 나쁜 건 아닌데, 서울이라는 이름 프리미엄에 그러한 기회를 제공하는 비용까지 포함되어 이 라면 한 그릇의 가격이 만원이 된 건 아닌가 싶다. 물론 책정한 가격에 대해 아주 심각하게 생각해야 될 정도는 아니다. 하카다 분코도 그렇고 여기도 마찬가지, 음식을 성의없게 만든다는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두 가지의 문제는 있다. 첫 번째는 개인적인 것인데, 그냥 한 끼 식사를 위해서라면 여기보다 바로 몇 백미터 앞에 있는 본향 바지락 칼국수의 들깨 수제비가 가격대 성능비 면(6,000)에서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두 번째, 이 라면 한 그릇에 만원을 꼭 받아야 되겠다면 곁들이는 김치도 만원짜리 식사의 격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하카다 분코에서는 그 가격에 그렇다고 생각했지만 이 가격에 그런 김치는 격이 맞지 않는다. 가격만 놓고 단순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는데, 만 천원짜리 우래옥 냉면에 딸려 나오는 유일한 반찬(가끔 못 먹을 때도 있지만;;;)인 배추 겉절이는 정말 만천 원짜리에 맞는 반찬이다. 이 김치는 아니다.

전체적으로 ‘서울라면’이라는 이름이 아니었다면 괜찮을 한 그릇의 라면에 너무 무거운 짐을 지운 건 아닐까 생각했다. 가격도 살짝 함께.

사족

1. 일본말로 ‘이럇샤이마세!’라고 크게 외치는 것을 그냥 우리식으로 옮기면 ‘어서오십시오!’라고 똑같이 크게 외치는 게 되는 걸까? 일본 라면이니까 그 분위기 그대로 한다는 점은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건 거슬렸다. 한성문고의 공간은 하카다 분코에 비해 훨씬 넓고 쾌적한데 이렇게 점원들이 외치는 것과 별로 좋지도 않은 음악 크게 틀어놓는 건 그 공간의 분위기를 해친다. 살바토레 쿠오모 더 키친에서는 점원들이 이탈리아 인삿말을 완전 우리말 억양으로 크게 외치는데, 레스토랑의 분위기와 전혀 맞지 않는다. 다 비슷하다.

2. 고명으로 얹은 양지머리. 모양새도 의성어도 좋지만 이제 고기를 결대로 생각없이 ‘쪽쪽’ 찢는 건 좀 그만 먹었으면 좋겠다. 쇠고기 양지나 닭가슴살처럼 지방없이 근섬유가 한쪽으로 긴 부위는 그 결의 반대로 짧게 잘라줘야 먹기 편하다. 아줌마 요리 블로거들 장조림해서 올리시는 거 보면 다들…

3. 왜 팜플렛에 굳이 ‘생선뼈’라고 써 놓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누구라도 먹자마자 가쓰오부시라는 걸 알 수 있다.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걸 밝히고 싶지 않은 의도가 있어서 그런건 아닌지, 그게 궁금했다.

4. 가게의 상호/로고가 붙은 그릇과 그걸 가지런히 진열해놓은 선반 등등은 일종의 프로페셔널리즘을 느낄 수 있어 좋다. 특히 우리나라 백반집 같은데서 다른 가게 상호가 붙어 있고 그을거나 이 빠진 플라스틱 접시들을 많이 보았다면… 설사 이미지 만들기에 치중한 전략이라고 해도 이런 게 낫다.

 by bluexmas | 2011/07/30 10:43 | Taste | 트랙백 | 덧글(6)

 Commented by 아스나기 at 2011/07/30 10:54 

요즘 서울을 뭔가 ‘있어보이는 것’으로 만들려고 억지로 이어붙이기를 하는 느낌을 관공서의 캐치프레이즈 같은데서 많이 봤는데, 그거랑 비슷한 느낌이네요.

대상에 대한 충분한 숙려 없이 이루어진 짜깁기 같은 이미지메이킹은 언제봐도 찝질한 느낌

 Commented by bluexmas at 2011/08/02 16:08

음식의 맛이 없지 않은데 이러면 뭔가 아쉬워지죠.

 Commented by 번사이드 at 2011/07/30 11:12 

여기 영 입에 안맞더군요. 가격도 그렇고, 그냥 칼국수집이 나은 것 같아요;;

 Commented by bluexmas at 2011/08/02 16:09

네 이해합니다;;; 무슨 말씀이신지;;

 Commented by 차원이동자 at 2011/07/30 12:37 

너무 힘을 줘서 터져버린 케찹병같군요

적당히 신경을 써가면서 힘을 기울여야 하는데 말이죠..

 Commented by bluexmas at 2011/08/02 16:09

네 너무 힘을 주었다는 느낌이 좀 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