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도산 단호박으로 만든 미친 호박파이
귀찮아서 아무 것도 하기 싫은데 그걸 무릅쓰고 뭔가 만들게 하는 재료를 발견하면 기분이 좋아진다. 모 마트에서 발견한 북해도산 단호박이 바로 그런 것이었다. 일단 하나 사다가 구워서 먹어봤는데, 이건 좀 너무 단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달았다. 겨울 내내 들어오는 건지, 아니면 하루 이틀 들어오다 말 건지는 알 수 없지만 파이를 구워보고 싶었다. 그래서 부랴부랴 파이접시(와 한 무더기의 베이킹 접시-_-)까지 사는 등 난리를 떨었다. 그 결과로 만든 건 정말 지옥에서 온, 미친 파이였다.
‘미국=사과파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로, 사과파이를 비롯한 각종 파이는 미국의 대표 디저트라고 할 수 있다(특히 집에서 만들 수 있는 수준의 디저트로 국한시킨다면). 그러나 백만 번 파이 만드는 걸 들여다 보았지만 정작 직접 만들어 본 적은 한 번도 없는데, 껍데기(크러스트 Crust) 만들기가 생각보다 귀찮으면서도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나의 졸역 <모든 것을 먹어본 남자>에도 제대로 된 파이를 찾는 원작자님의 여정이 구구절절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것도 결국 껍데기를 제대로 만드는 것에 관한 이야기이다(체면치레는 해야 하므로 파이 속의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기는 하다).
아메리카스 테스트 키친에서도 지난 10년동안 매 시즌 최소한 한 번 정도 파이를 만들면서 껍데기의 조리법을 업데이트해 왔다. 그
최신판은 바로 지난 시즌의 것으로, 마지막으로 반죽을 뭉칠때 물과 함께 보드카를 섞는다. 에탄올이 처음 반죽을 뭉칠때에는 넉넉하게 수분을 공급해주지만 구울때에는 오븐의 열에 의해 증발됨으로써 완성된 파이의 맛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보통 ‘물을 반죽이 겨우 뭉쳐질 정도로만 넣어라’는 대부분의 파이껍데기 조리법에 반하는 것인데, 그렇게 물을 적게 넣었을 경우 반죽이 지나치게 딱딱해서, 휴식을 넉넉히 시킬지라도 얇게 밀기 전에 부서져 버리기가 쉽다. 조리법을 따라 반죽을 만들었는데, 예상외로 잘 뭉쳐지지 않아서 보드카를 조금 더 집어 넣었고 결과는 조금 더 질긴 파이 껍데기가 되어 버렸다. 역시 엄청난 연습이 필요하다.
이 파이가 ‘지옥에서 온 미친 파이’가 되어 버린 건, 사실 껍데기가 아닌 속 때문이었다. 그냥 통조림을 사서 쓰면 되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호박파이 만들기가 쉽다. 그게 없다면 일단 호박을 구워서 속을 파내야 되는데, 은근히 귀찮다. 너무 센 불에 구우면 수분이 지나치게 빠져나가 말라버리기 때문에, 인터넷을 한참 뒤져 섭씨 200도를 적정 온도로 정하고 30분 동안 호박을 구웠다. 아울러 설탕을 입힌 얌 yam 통조림도 더하라는데 그것도 없으니 그냥 고구마도 같이 굽는다.
이렇게 호박과 고구마를 구워서 속을 파낸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이 파이의 속은 거의 호박죽에 가깝다. 호박과 고구마에 몇 가지 양념과 설탕, 단풍 시럽, 간 생강 등등을 더한 뒤, 불에 올려 타지 않게 저어주며 한참 끓인다. 크림과 우유, 계란으로 만든 커스터드를 섞어준다. 마지막으로 체에 걸러주는데, 3,000원짜리 초 싸구려 체로 섬유질이 풍부한 호박과 고구마죽을 거른다는 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었다. 팔이 빠질 뻔했다.
이렇게 호박고구마죽을 만드는 동안 파이껍데기를 구웠는데, 생각보다 많이 쪼그라들어 놀랐다. 어제 구운 타르트 반죽도 꽤 많이 쪼그라들어서, 일단 버터에 생각보다 물이 많은 건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 온도계로 반죽 가운데의 온도가 80도를 찍을때까지만 굽는다.
사과파이 같은 건 아이스크림이 잘 어울리는데, 호박파이는 밀도가 높고 차갑게 먹는 편이므로 설탕을 거의 안 넣고 올린 크림을 곁들이는 편이 훨씬 더 잘 어울린다. 맛있게 먹기는 했는데 만들기가 너무 번거로워서 그냥 내가 먹으려고 만드는 일은 없을 것 같다.
# by bluexmas | 2010/11/22 11:00 | Taste | 트랙백 | 덧글(26)
비공개 덧글입니다.
비공개 덧글입니다.
비공개 덧글입니다.
비공개 덧글입니다.
먹는 건 순식간인데 만드는 사람 정성은 정말 끝도 없군요!!
단호박파이 먹고 싶던 타이밍에 잘 먹었습니다요.ㅎ